<인턴>은 2015년 낸시 마이어스 감독이 연출한 작품으로, 로버트 드 니로와 앤 해서웨이가 주연을 맡아 유쾌하면서도 따뜻한 감정을 전하는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단순히 직장 내의 코미디를 넘어, 노년과 청년, 경험과 혁신, 성공과 균형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성장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은퇴 후 새로운 삶을 모색하는 70세의 인턴 벤과, 젊고 성공한 여성 CEO 줄스의 이야기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회적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은퇴 이후의 삶 – 새로운 시작을 향한 도전
벤 휘태커(로버트 드 니로)는 평생 일해 온 회사를 은퇴하고, 배우자를 잃은 뒤 무료한 일상을 보내고 있습니다. 여행도, 취미도, 봉사도 해봤지만, 그는 여전히 자신이 사회에 필요하지 않다는 공허함을 느낍니다. 이때 그는 우연히 젊은 스타트업 기업에서 진행하는 시니어 인턴 채용 프로그램을 발견합니다.
그는 단순히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지원한 것이 아닙니다. 영화는 은퇴 이후의 삶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벤을 통해 보여줍니다. 많은 은퇴자들이 느끼는 상실감과 무력감을 벤의 캐릭터가 대변하고, 다시 사회에 참여하며 자신을 되찾는 과정을 희망적으로 그려냅니다.
줄스 – 성공한 여성 CEO의 두 얼굴
줄스 오스틴(앤 해서웨이)은 온라인 패션 쇼핑몰을 창업해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젊은 CEO입니다. 그녀는 빠른 판단력과 혁신적 감각을 지녔지만, 동시에 모든 업무를 직접 챙기며 완벽주의적으로 회사를 운영합니다.
겉으로는 화려해 보이지만, 그녀의 내면은 무거운 부담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회사의 성장과 투자자들의 기대, 가정과 육아의 책임, 그리고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는 이중적 잣대가 그녀를 짓누릅니다. 특히 남편의 외도는 그녀를 깊은 혼란 속에 빠뜨리며, 성공과 행복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줄스의 이야기는 단순한 개인적 갈등이 아니라, 현대 여성들이 겪는 구조적 문제를 상징합니다. 영화는 이를 통해 성평등과 일·가정 양립의 현실적인 고민을 드러냅니다.
벤과 줄스 – 세대와 세대를 잇는 관계
영화의 핵심은 벤과 줄스의 관계입니다. 처음에 줄스는 70세 인턴을 불필요한 존재로 여기지만, 벤의 차분한 태도와 배려, 성실함에 조금씩 마음을 엽니다.
벤은 단순히 일을 잘하는 인턴이 아니라, 회사 사람들에게 안정감을 주고, 긴장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존재입니다. 그는 언제나 양복을 차려입고, 작은 예의를 지키며,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경청합니다. 현대의 빠르고 경쟁적인 회사 문화 속에서, 그의 태도는 오히려 더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줄스 역시 벤과의 관계를 통해 변합니다. 그는 벤에게서 사람을 대하는 법, 신뢰와 존중의 리더십을 배우고, 점차 자신이 놓치고 있던 가정과 행복을 다시 돌아보게 됩니다.
영화 속 주요 장면 – 유머와 울림
<인턴>에는 가볍게 웃음을 주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장면들이 많습니다.
- 벤이 사무실 동료들에게 전통적인 매너와 예절을 알려주며, 젊은 직원들이 그에게 존경심을 느끼는 장면.
- 줄스가 벤에게 남편의 외도 문제를 털어놓으며, 처음으로 약한 모습을 드러내는 장면.
- 두 사람이 자동차를 타고 나누는 조용한 대화에서, 인생 경험과 현실의 무게가 교차하는 순간.
이 장면들은 단순히 코미디적 재미를 넘어서, 관객이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낸시 마이어스의 연출 – 따뜻함과 세련됨의 조화
<인턴>은 무겁고 진지한 사회 문제를 다루면서도 전혀 무겁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는 감독 낸시 마이어스 특유의 세련된 연출 덕분입니다. 그녀는 유머와 따뜻함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 관객이 웃다가도 진지하게 생각하게 만듭니다.
또한 영화의 배경이 되는 오피스와 뉴욕의 풍경은 감각적으로 촬영되어, 시각적 즐거움을 줍니다. 패션과 디자인 요소를 적절히 활용한 미장센은 줄스가 운영하는 회사의 정체성과 연결되며,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현대적으로 만듭니다.
세대 간 교류가 주는 의미
<인턴>의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세대 간의 교류가 서로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 젊은 세대는 속도와 효율, 혁신을 추구하지만, 때때로 안정과 지혜를 잃습니다.
- 노년 세대는 경험과 배려, 품격을 지니고 있지만,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는 적응하기 어렵습니다.
영화는 두 세대가 충돌이 아니라 협력과 존중을 통해 성장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히 회사나 직장 내 관계를 넘어서, 사회 전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영화가 던지는 질문
<인턴>은 관객에게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 성공이란 무엇인가? 단순히 회사의 성과인가, 아니면 삶 전체의 균형인가?
- 우리는 나이와 상관없이 여전히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가?
- 젊은 세대와 노년 세대가 함께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태도는 무엇인가?
이 질문들은 단순히 영화 속 등장인물의 고민이 아니라,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현실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습니다.
결론 – 함께일 때 완성되는 삶
<인턴>은 따뜻하고 유쾌한 영화지만, 동시에 깊은 성찰을 전합니다. 벤과 줄스의 관계는 단순한 사제 관계나 직장 동료를 넘어, 서로 다른 세대가 어떻게 존중하고 배우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영화는 우리에게 말합니다.
“인생은 어느 나이에서든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길은 혼자가 아니라, 누군가와 함께할 때 더욱 빛난다.”
<인턴>은 가볍게 웃으면서도 가슴 한편이 따뜻해지는 영화이며, 세대 간 화합과 삶의 균형이라는 주제를 가장 세련되게 풀어낸 작품 중 하나로 남습니다.